본문 바로가기

소크라테스7

플라톤이 말하고 있는 이상국가, 철인이 통치하는 국가 지난 번 플라톤에 이데아론에 이어서 오늘은 플라톤의 철인 정치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겠습니다. 플라톤이 꿈꾸는 세계인 이데아에 대해 알고 싶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관한 설명을 알고 이 글을 읽으면 보다 쉽게 내용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2022.11.28 - [철학] - 서양철학의 절정, 플라톤 그는 누구인가? 서양철학의 절정, 플라톤 그는 누구인가? (1) 플라톤의 배경 이번 글에서는 철학자 플라톤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그는 아테네 최고 정치 명문가의 자손이었습니다. 그의 이름의 뜻은 “넓은 어깨”로 레슬링 대회에서 우승 하기도 ezylife.co.kr (1) 소크라테스의 죽음 지켜본 플라톤의 고민 아테네의 시민 법정에서 소크라테스가 사형을 받게 되는 것을 지켜본.. 2022. 11. 29.
"악법도 법이다!"소크라테스의 말말말??, 소크라테스의 진짜 이야기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소크라테스라는 인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읽기 전, 이전 포스팅 글을 읽고 오시면 이해하는 데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22.11.25 - [철학] - 철학자 소크라테스 - 아테네 최고의 논객 아테네 최고의 논객, 철학자 소크라테스 이야기 소크라테스는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 했던 소피스트와 동시대에 살고 있었던 인물로 당대 최고의 논객이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스스로 남긴 글이 없어 그의 제자 플라톤이 남긴 책들로 오늘 ezylife.co.kr (1) 무료강사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는 당시 변론술, 수사학, 웅변술을 가르쳤던 소피스트와 논쟁을 하던 사람이었습니다. 그가 소피스트와 달랐던 점은 절대주의적 가치를 가르치는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그는 소피스트와는 달리 가르침에 .. 2022. 11. 26.
아테네 최고의 논객, 철학자 소크라테스 이야기 소크라테스는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 했던 소피스트와 동시대에 살고 있었던 인물로 당대 최고의 논객이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스스로 남긴 글이 없어 그의 제자 플라톤이 남긴 책들로 오늘날 그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그 책들은 대부분 다른 인물들과 논쟁을 한 주인공 소크라테스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습니다. 그 내용 중 몇 가지 내용과 왜 그가 철학자를 떠올릴 때,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게 되는 인물이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소크라테스가 인류의 4대 성인으로 불리는 이유 소크라테스는 평범한 집안의 가정에서 태어나 당대 논객이었던 소피스트와 마찬가지로 이전 자연철학보다는 인간에 대한 주제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그는 회의주의, 상대주의라고 할 수 있던 소피스트와는 달리 절대주의자라고 볼 수 있.. 2022. 11. 25.
소크라테스와 대립한 소피스트 (1) 소피스트라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이번에 다룰 내용은 소크라테스와 대립했던 소피스트 불리던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그들에 대하여 살펴보기 전에, 그들이 나타났던 배경과 그들이 소피스트라고 불리게 된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당시 아테네에서는 민주주의라는 사상이 생겨나면서 사람들은 토론과 논쟁을 통하여 의견을 표출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민주주의를 위한 민회가 열리면서 이러한 중요성을 나날로 커졌습니다. 그에 따라 플라카 지구에 모여 돈을 받으며 논쟁에서 이기기 위한 과외를 해주는 당대 지식인 계층이 생겨나게 되는 데 이들을 일명 소피스트라고 칭하게 됩니다. 그들은 웅변술과 설득의 방법을 가르치는 사람들로 아테네 출신보다는 외부 출신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들은 자연.. 2022. 11. 24.
중재적 철학자 3인 - 엠페도클레스, 아낙사고라스, 데모크리토스 이번 포스팅에서는 3명의 철학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의 헤라클레이토스와 파르네미데스에 대한 내용을 보고 오시면 내용을 이해하기 수월할 것입니다. 2022.11.20 - [철학] - 감각적인 세상을 살았던 헤라클레이토스와 이성적 세상을 생각했던 파르메니데스 감각적인 세상을 살았던 헤라클레이토스와 이성적 세상을 생각했던 파르메니데스 (1) 헤라클레이토스, 그는 누구인가? 탈레스 그리고 피타고라스 등장으로 세상의 근본을 이루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가에 대해 사람들은 궁금해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중 헤라클레이토스는 변 ezylife.co.kr (1) 중재적 철학자 3인 이전 포스팅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헤라클레이토스는 만물의 근원은 불이라 말하며, 생성, 소멸, 변화로 이 세상은 돌아가고 .. 2022. 11. 22.
오랜 세월 서양 철학의 기반이 되었던 고대 그리스 철학은? 1) 지식의 격동기, 그리스 철학 B.C. 5세기는 그리스에서 지적인 격동의 시기였습니다. 이 세기 동안의 그리스로 부터 사람들은 이탈리아에서 르네상스의 찬란한 세월을 떠올리고, 전통의 끈을 끊고 자유롭고 자유로운 발전의 권리를 주장했던 활기찬 삶에 대한 인간의 마음의 각성을 상기시킵니다. 아테네는 이러한 지적 활동의 중심지였습니다. 이 세기에 소피스트들이 생겨났습니다. 소피스트들은 인간 지식의 모든 분야로 바쁘게 움직였지만, 인간의 삶에 거의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질문들에 적지 않게 중점을 두는 것처럼 보였다. 인간이 진리에 도달할 수 있을까? 그것은 그에게 단순한 진실, 보이는 진실 그 이상이다. 그 법률들은 어디에서 그들의 권위를 얻는가? 정의 같은 것이 있나요? 소피스트들이 그들 자신을 점령한 것.. 2022. 11. 9.
철학이라는 학문의 시작은 어땠을까? 철학의 시작과 탄생이란? 제가 포스팅하는 철학에 대한 글은 "철학"이라는 단어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했는지와 시대가 지나면서 어떤 종류의 학문이나 학문 그룹으로 발전해왔는지에 대한 내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개념의 시작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484-424 B.C.)는 "철학하다"라는 동사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고 전해집니다. 그는 크로이소스가 솔론에게 "지식의 욕망으로부터, 철학적으로, 많은 땅을 여행했다"는 말을 들은 경위를 말하게 합니다. "철학화"라는 말은 솔론이 그 자체로 지식을 추구했고, 우리가 수사관이라고 부르는 사람이었음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철학자"(어원학적으로,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라는 단어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없는 전통이 그것을 피타고라스(기원전 582-500년)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2022. 11. 8.